프란치스코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 

교황, 선교하는 교회 위한 13명 추기경 임명

프란치스코 교황은 9월 1일 주일 삼종기도를 마친 후, 차기 아마존 주교 시노드가 개최되는 전날인 10월 5일 추기경으로 서임될 고위 성직자 명단을 발표했다.

번역 양서희

프란치스코 교황은 9월 1일 주일 성 베드로 광장에서 삼종기도를 주례한 뒤 오는 10월 5일 토요일 서임될 13명의 새 추기경 명단을 발표했다. 교회가 하느님의 자비로운 사랑을 지상의 모든 인류와 세계 곳곳에 전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만큼, 이번 신임 추기경들의 출신 배경은 교회의 선교 사명을 더욱 명확히 드러내준다고 교황은 말했다. 교황은 명단 발표 후 신임 추기경들이 그리스도께 의탁해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인 모든 신자의 선익을 위해 로마의 주교(교황)의 사목을 보필할 수 있도록 기도해달라고 당부했다. 

새 추기경들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1. 미겔 앙헬 아유소 기소(Miguel Angel Ayuso Guixot) 주교: 예수 성심 콤보니 전교 수도회(MCCJ) 출신. 현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 아유소 기소 주교는 1952년 스페인 세비야 태생이다. 1980년 콤보니 수도회에서 종신서원을 하고 같은 해 사제품을 받아 2002년까지 이집트와 수단에서 선교 사제로 사목했다. 1982년 로마의 교황청립 아랍-이슬람학대학(PISAI)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2000년 그라나다 대학에서 교의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수단의 수도 카르툼과 이집트 수도 카이로에서 이슬람학 교수로 재직했고, 2012년까지 교횡청립 아랍-이슬람학대학에서 가르치며 학과장을 지냈다. 또 그는 아프리카(이집트, 수단, 케냐, 에티오피아, 모잠비크)에서 다양한 종교 간 만남을 이끌었다. 2012년 6월 20일, 베네딕토 16세 교황에 의해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사무총장으로 임명됐으며, 2016년 3월엔 루페르치아나의 명의 주교로 주교품을 받았다. 지난 5월 25일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으로 임명됐다. 그는 해외 학술지에 기고하고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스페인어,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에 능통하다. 

2. 호세 톨렌티노 칼라사 데 멘도사(José Tolentino Calaça de Mendonça) 대주교:  현 바티칸 비밀 문서고와 바티칸 도서관 기록보관담당 및 사서 총책임자. 멘도사 대주교는 1965년 포르투갈의 마데이라 태생이다. 1990년 푼샬교구의 사제로 서품됐다. 1989년 리스본의 가톨릭 포르투갈 대학에서 신학 학위를 받았고, 1992년 로마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성서학 학위를 받았으며, 2004년 가톨릭 포르투갈 대학에서 성서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푼샬 신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이후 로마의 교황청립 포르투갈 신학원 원장을 지냈다. 이어 가톨릭 포르투갈 대학교의 부총장을 역임하며 브라질의 교황청립 리우데자네이로 대학에서는 초빙교수로, 벨루오리존치에서는 철학 및 신학 교수로 재직했다. 2011년 교황청 문화평의회 고문을 맡았다. 2018년 6월 26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바티칸 비밀문서고와 바티칸 도서관의 기록보관담당 및 사서 총책임자로 임명됐고, 이후 수아바의 명의주교로 임명되면서 대주교로 승품됐다. 멘도사 대주교는 신학과 주석학에 대한 많은 책과 논문을 썼으며 몇 권의 시집도 출판했다. 

3. 이냐시오 수하료 하르요아트모조(Ignatius Suharyo Hardjoatmodjo) 대주교: 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대교구장. 1950년 세다유 태생으로 1976년 사제품을 받았다. 1981년 교황청립 우르바노 대학에서 성서신학 학위를 받았으며,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의 교황청립 ‘웨다바키’ 신학대학 총장 겸 성서신학 교수를 지냈다. 1997년 세마랑대교구장으로 임명됐으며, 2009년 자카르타의 부교구장 주교로 발령받았고, 이어 2010년 자카르타대교구장에 착좌했다. 2006년부터 인도네시아 군종교구에서도 일하고 있다. 이냐시오 수하료 대주교는 자카르타교구장으로 임명된 첫 번째 교구 사제다. 현재 인류복음화성 위원 겸 인도네시아 주교회의 의장이기도 하다. 

4. 후안 델라 카리다드 가르시아 로드리게스(Juan de la Caridad García Rodríguez) 대주교: 현 쿠바 아바나대교구장. 1948년 카마구에이 태생이다. 산 바실리오 데엘 코브레 신학교와, 아바나의 산 칼로스와 산 암브로시오 신학교에서 철학 및 신학을 전공한 후 1972년 사제품을 받았다. 모론과 세에고데아빌라에서 본당 신부로 사목한 후 자티보니코와 모론의 본당에서 사목했다. 이후, 당시 치에고-모론대리구를 사목했다. 1989년 플로리다의 사목자로 임명됐으며, 카마구에이교구에 선교학교를 설립하고 책임자로 일했다. 1997년 굼미 인 프로콘솔라레의 명의주교 겸 카마구에이의 보좌주교로 임명됐으며, 2002년 카마구에이대교구장에 착좌했다. 2016년 4월 26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산크리스토발데라 아바나 관구장좌 대교구의 교구장으로 임명됐다. 

5. 프리돌랑 암봉고 베상귀(Fridolin Ambongo Besungu) 대주교: 카푸친 작은 형제회(OFM Cap) 출신.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의 킨샤사대교구장. 1960년 몰렝베교구의 보토 태생이다. 브와만다 신학교에서 철학 공부를 마치고 마제노드의 성 에우제니오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한 후, 1981년 카푸친 작은 형제회 회원으로 첫 서원을 하고 1987년 종신서원을 했다. 성 알폰소 대학원에서 윤리신학 학위를 받고 졸업한 후 1988년 사제품을 받았다. 보비토에서 사목했으며, 킨샤사 가톨릭 대학의 교수로 재직했다. 또 콩고민주공화국의 카푸친 공동체 장상을 지냈다. 콩고장상연합회(ASUMA) 의장을 역임하고, 아프리카 카푸친 작은 형제회(CONCAU) 총장을 지냈다. 2005년 보쿵구-이켈라교구장 착좌 이후 콜레교구장 서리와 주교회의 정의와평화위원회 의장을 지냈다. 또 므반다카-비코로교구장 서리를 지낸 후 2016년에는 교구장에 착좌했다. 2016년 6월 콩고 주교회의 부의장이 됐다. 2018년 2월 6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킨샤사대교구 부교구장 주교로 임명됐으며, 같은 해 11월 교구장 주교가 됐다. 

6. 장-클로드 올러리슈(Jean-Claude Höllerich) 대주교: 예수회(SJ) 출신. 현 룩셈부르크대교구장. 1958년 룩셈부르크 대공국의 디페르당주 태생이다. 로마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에서 신학생 시절을 보냈다. 1981년 예수회에 입회한 후 벨기에 남부 지역과 룩셈부르크에서 예수회 양성을 받았다. 벨기에 나무르 주(州)에서 수련기를 보낸 후 1983년부터 1985년까지 2년 동안 룩셈부르크에서 실습기를 거쳤다. 이후 일본으로 넘어가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공부했다. 1985년부터 1989년까지 도쿄 소피아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신학 학위를 받았다. 1990년 4월 21일 예수회 사제로 서품된 후 뮌헨의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에서 독일어와 독일 문학 공부를 지속해 1994년 학위를 받았다. 룩셈부르크에서 프랑스 가톨릭 액션단체 ‘가톨릭 학생 청년회(Jeunesse étudiante Chrétienne)’와 ‘그리스도인 생명 공동체(Communautés Vie Chrétienne)’와 관련한 다양한 사목활동을 펼쳤다. 룩셈부르크 소재 보방고등학교에서 교사로, 또 룩셈부르크 신학교의 신학생 영성지도 겸 성소 담당자로 봉사했다. 1994년 도쿄 소피아 대학에서 독일어와 프랑스어를 비롯해 유럽 연구에 관해 가르쳤으며, 1999년에는 동 대학 교목 사제가 됐다. 일본에서 예수회 공동체 관구장이 됐으며, 대학에서 행정 및 학생과 부총장을 역임했다. 또 2005년 쾰른 세계청년대회 준비와 참가를 위한 일본 주교회의 대표로 봉사했다. 2011년 7월 12일 베네딕토 16세 교황에 의해 룩셈부르크대교구장으로 임명됐다. 

7. 알바로 레오넬 라마치니 이메리(Alvaro Leonel Ramazzini Imeri) 주교: 현 우에우에테낭고교구장. 1947년 과테말라 태생이다.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에서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은 후, 1971년 과테말라대교구에서 사제품을 받았다. 이후 과테말라 신학교의 교수 겸 총장으로 재직했으며, 과테말라대교구의 가장 큰 본당 중 한곳에서 사목했다. 1989년 1월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산 마르코스의 주교로 임명됐다. 과테말라 주교회의에서 다양한 직무를 수행했으며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의장을 지냈다. 2007년 아파레시다에서 있었던 라틴아메리카주교회의(CELAM) 총회에 참석했으며, 1997년 아메리카주교대의원회의 특별 총회에 참석했다. 현재는 사회홍보위원회와 교정사목위원회를 담당하고 있다. 2012년 베네딕토 16세 교황에 의해 우에우에테낭고교구장으로 임명됐다. 

8. 마태오 주피(Matteo Zuppi) 대주교: 현 볼로냐대교구장. 1955년 로마 태생으로 팔레스트리나교구의 신학교와 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에서 신학생 시절을 보낸 후, 1981년 팔레스트리나교구에서 교구 사제로 서품됐다. 로마 대학교에서 철학 공부를 이어갔으며, 1988년 로마교구로 이적했다. 2006년 교황청 전담 사제로 임명됐다. 그가 수행한 다양한 직무는 △1983-2012년 성 십자가 성당의 주임 신부 △1995-2012년 사제 평의회 회원 △1981-2000년 트라스테베레의 산타 마리아 보좌 신부 △2000-2010년 트라스테베레의 산타 마리아 주임 신부 △2005-2010년 로마교구 중로마지역 제3지구장 △2000-2012년 산 에지디오 공동체 지도신부 △2010-2012년 또레 앙헬라의 성 시몬 성당과 유다 성당 사목 △2011-2012년 로마교구 동로마지역 제17지구장 등이다. 2012년 빌라노바의 명의주교 겸 로마의 보좌주교로 임명됐다. 2015년 10월 27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볼로냐 관구장좌 대교구장으로 임명됐다. 

9. 크리스토발 로페스 로메로(Cristóbal López Romero) 대주교: 살레시오회(SDB) 출신. 현 모로코 라바트대교구장. 1952년 스페인 알메리아교구의 벨레즈-루비오 태생이다. 1964년 살레시오회에 입회해 바르셀로나 살레시오 신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1968년 살레시오회원으로 첫 서원을 했다. 1974년 종신서원 후 1979년 사제로 서품됐다. 1982년 바르셀로나 자치대학의 언론정보학교에서 정보과학 전공으로 학위를 받았다. 그가 수행한 직무는 △1979-1984년 바르셀로나 빈민 사목 △1984-1986년 파라과이의 아순시온의 살레시오 대학에서 청소년 사목 △1986-1992년 아순시온에서 성소 사목 관구장 대리 △1991-1992년 아순시온 ‘살레시오 가족지’ 총괄책임자 △1992-1994년 아순시온 지역 사목 △1994-2000년 살레시오 파라과이 관구장 △2000-2002년 아순시온 공동체 책임, 대학의 교목실장 겸 교수 △2002-2003년 파라과이 선교 담당자 △2003-2011년 모로코 케니트라의 전문 양성센터의 본당과 학교 사목 책임자 △2011-2014년 살레시오 볼리비아 관구장 △2014년 스페인 살레시오 ‘그리스도인들의 도움이신 성모 마리아’ 관구장 등이다. 2017년 12월 29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모로코 라바트대교구장으로 임명됐다. 

10. 미카엘 체르니(Michael Czerny) 신부: 예수회(SJ) 출신. 온전한 인간 발전 촉진을 위한 교황청 부서 이주사목국 담당 차관보. 1946년 체코슬로바키아 태생이다. 1963년 예수회에 입회했다. 1973년 예수회 캐나다 관구 소속으로 사제품을 받고, 1978년 시카고 대학에서 학제간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신앙과 정의를 위한 예수회 센터를 설립하고 1989년까지 책임자로 있었다. 1991년 중앙아메리카 대학의 예수회원 암살 사건 이후 산 살바도르로 발령을 받았고, 그곳에서 부총장 겸 인권위원회 책임자로 근무했다. 1992년부터 2002년까지 로마 총원에서 사회 정의 부문 담당자로 직무를 수행했고, 이후 아프리카 예수회 에이즈 네트워크(AJAN)를 결성했다. 이 네트워크는 아프리카의 예수회원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며, 아프리카의 후천적 면역 결핍 증후군(HIV/AIDS) 확산에 맞서고 있다. 2005년부터 케냐 주교회의와의 협업을 통해 동아프리카 나이로비의 가톨릭 대학 지혜학교에서 가르쳤다. 2009년 베네딕토 16세 교황에 의해 두 번째 아프리카 주교대의원회의 전문위원으로 임명됐다. 2010년부터 교황청 정의평화평의회로 발령받았다. 2016년 12월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온전한 인간 발전 촉진을 위한 교황청 부서 이주사목국 담당 차관보로 임명됐다. 2018년 10월 젊은이를 주제로 열린 세계주교대의원회의(주교 시노드)에 참석했으며, 오는 2019년 10월 아마존을 주제로 열리는 세계주교대의원회 특별회의(아마존 주교 시노드)의 특별 서기로 봉사하고 있다. 

11. 마이클 루이스 피츠제럴드(Michael Louis Fitzgerald) 대주교: 전 이집트 교황 대사. 1937년 영국 잉글랜드 중부 월솔 태생이다. 1950년 아프리카 선교회(비앙키 사제회)에 입회하고, 1961년 사제품을 받았다. 1987년 비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위원회(1988년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의 전신)의 사무총장으로 임명됐다. 1991년 주교품을 받고 넵트의 명의주교가 됐다. 2002년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으로 임명되면서 대주교로 승품됐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그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 위원으로 임명됐고, 2004년에는 문화평의회 위원으로도 임명됐다. 베네딕토 16세 교황에 의해 2006년 이집트 교황 대사로 임명됐고, 2012년 은퇴 전까지 그곳에서 직무를 수행했다. 

12. 시기타스 탐케비치우스(Sigitas Tamkevičius) 대주교: 예수회(SJ) 출신. 리투아니아 카우나스대교구의 전임 대교구장. 1938년 리투아니아 라즈디예이 지역의 구도니스 태생으로 1962년 사제품을 받았다. 알리투스, 라즈디예이, 쿠디르코스, 나우미에스티스, 프리에네이, 심나스 등지에서 보좌 신부로 다양한 사목 직무를 수행했다. 1968년 예수회에 입회했다. 1983년 반소련 선전운동죄와 여론선동죄로 체포돼 페름과 모르도바 수용소에서 10년 동안 수감됐다. 1988년 풀려날 때까지 시베리아로 추방됐다. 1990년 카우나스대교구 신학교 총장으로 임명됐다. 1991년 카우나스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됐고, 1996년 대교구장에 착좌했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그리고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리투아니아 주교회의 의장직을 맡았으며,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부의장직을 맡았다. 은퇴할 나이가 되자 2015년 프란치스코 교황의 승인 하에 대교구장직에서 물러났다. 

13. 에우제니오 달 코르소(Eugenio Dal Corso) 주교: 하느님 섭리의 가난한 종 수도회(PSDP) 출신. 앙골라 벵겔라교구 전임 교구장. 1939년 태생으로 베로나의 돈 깔라브리아 학교에서 수학하고 선교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1963년 사제품을 받은 후 로마에서 교의신학을 공부했다. 학업 중에도 베로나의 마돈나 디 깜파냐 성당과 나폴리 성당에서 사목활동을 수행했다. 1975년 선교사로서의 삶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첫 부임지는 아르헨티나였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라페레르 지역에서 11년 동안 머물렀다. 이후 앙골라의 수도 루안다로 발령받았는데, 그곳은 그가 가장 약한 이들을 위해 몸 바칠 수 있는 곳이었다. 1995년 앙골라 소리노교구의 부주교로 임명됐다가 1997년 교구장이 됐다. 2008년 2월 12일 벵겔라교구장으로 임명됐으며, 은퇴할 때까지 벵겔라교구에서 사목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고, 임의 편집/변형하지 마십시오)

01 9월 2019, 1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