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의 상처 안에서, 삶에서 상처받은 이들을 껴안읍시다”
번역 이창욱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세요!
하느님의 자비 주일인 오늘 복음은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두 차례 나타나신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주님께서는 특히 “믿지 못하는 사도” 토마스에게 나타나십니다(요한 20,24-29 참조).
사실 토마스 사도만 믿지 못한 사람은 아닙니다. 실로 토마스 사도는 우리 모두를 다소 대변합니다. 실제로 그의 경우처럼, 특히 엄청난 실망을 겪었을 때 믿음을 유지하기가 항상 쉬운 일은 아닙니다. 엄청난 실망을 겪은 후에는 믿기가 어렵습니다. 토마스는 수년 동안 위험을 무릅쓰고 고생을 견디며 예수님을 따랐지만, 스승이신 예수님은 범죄자처럼 십자가에 못 박히셨고 아무도 그분을 풀어주지 않았습니다. 그 누구도, 아무것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분께서 돌아가시자 모두가 두려움에 사로잡혔습니다. 어떻게 다시 믿을 수 있었을까요? 그분께서 살아 계시다는 그 소식을 어떻게 믿을 수 있을까요? 토마스의 마음은 의심으로 가득 찼습니다.
하지만 토마스는 용감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두려움에 떨며 다락방에 숨어있는 동안, 그는 누군가가 자신을 알아보고 자신을 신고하여 체포할지도 모른다는 위험을 무릅쓰고 밖으로 나갔습니다. 우리는 토마스의 용감한 모습을 보고 그가 다른 제자들보다 부활하신 주님을 더 많이 만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토마스가 밖으로 나갔기 때문에, 주간 첫날 저녁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처음으로 나타나셨을 때 그 자리에 없었고 따라서 주님을 뵙는 기회를 놓치고 말았습니다. 그는 공동체를 떠나 있었던 것입니다. 토마스가 그 기회를 어떻게 만회할 수 있었을까요? 오직 다른 제자들에게 돌아감으로써, 그들이 있는 자리로 돌아감으로써, 겁먹고 슬픔에 잠긴 제자 공동체의 품으로 돌아감으로써 그럴 수 있었습니다. 토마스가 돌아왔을 때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오셨다고 말했지만, 그는 믿지 못했습니다. 그는 그분의 상처를 보고 싶어 했습니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를 만족시켜 주십니다. 여드레 뒤에 주님께서는 당신 제자들 가운데 다시 나타나셔서 토마스에게 당신의 상처, 손과 발을 보여주십니다. 이 상처들은 당신 사랑의 증거, 언제나 열려 있는 당신 자비의 통로입니다.
이 사실들을 묵상해 봅시다. 토마스는 믿기 위해 상처를 만지는 특별한 표징을 원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에게 상처를 보여주시지만, 밖이 아닌 공동체 안에서 모든 이 앞으로 오시어 ‘평범한 방식으로’ 그렇게 하십니다. 마치 그에게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나를 만나고 싶으면 멀리서 찾지 말고 다른 이들과 함께 공동체 안에 머물러라. 떠나지 말고, 그들과 함께 기도하고, 그들과 함께 빵을 떼어 먹어라.’ 주님께서는 우리에게도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거기서 너희는 나를 만나게 될 것이고, 거기서 나는 내 몸에 새겨진 상처의 흔적, 곧 증오를 이기는 사랑의 표징, 복수를 무장해제하는 용서의 표징, 죽음을 이기는 생명의 표징을 너희에게 보여주겠다. 너희가 형제자매들과 함께 의심과 두려움의 순간을 나누고 그들에게 더욱 붙어있을 때, 바로 거기서, 그 공동체에서, 너희는 내 얼굴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공동체 없이는 예수님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토마스 사도에게 주어진 초대는 우리에게도 유효합니다. 우리는 부활하신 주님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어떤 특별한 사건에서, 화려하거나 감동적인 종교 행사에서, 우리 감정과 느낌에서만 찾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아니면 공동체에서, 교회 안에서, 비록 완벽하지 않더라도 거기에 머무르는 도전을 받아들이며 찾고 있나요? 우리의 한계와 실패에 따른 그 모든 한계와 실패에도 불구하고 우리 어머니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입니다. 그리스도의 몸인 바로 거기서 이제와 영원히 새겨진 그분 사랑의 가장 큰 표징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사랑의 이름으로, 예수님 상처의 이름으로, 우리는 삶에서 상처받은 이들에게 기꺼이 팔을 벌려 받아들이고 있는지, 하느님의 자비에서 누구도 배제하지 않고 모든 이를 받아들이고 있는지 자문해 봅시다. 하느님께서 모든 이를 받아들이신 것처럼 한 사람 한 사람을 형제처럼, 자매처럼 받아들이고 있는지요? 하느님께서는 모두를 환대하십니다.
‘자비의 어머니’이신 성모님, 저희가 교회를 사랑하고 교회가 모든 이를 환대하는 집이 되도록 도와주소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고, 임의 편집/변형하지 마십시오)